-
- [교수동정] 연기예술학과 윤재호 교수 연출 다큐멘터리 영화 <숨> 3월 12일 개봉
- 연기예술학과 윤재호 교수 연출/감독 다큐멘터리 영화 <숨> 2025년 3월 12일 극장 개봉 삶과 죽음의 내밀한 풍경을 다룬 우리 시대의 가장 철학적인 다큐멘터리, 윤재호 감독의 <숨>(Breath)이 오는 3월 12일 개봉을 확정하며 메인 포스터와 예고편을 동시 공개했다. [감독/각본: 윤재호 | 출연: 유재철, 김새별, 문인산 | 제작: 빈스로드 픽쳐스, 시네마로드 | 배급: ㈜인디스토리 | 러닝타임: 72분 | 관람등급: 12세이상관람가 | 극장개봉: 2025년 3월 12일] “삶의 첫숨을 풀고 끝숨을 여미는 시간” <송해 1927><파이터> 윤재호 감독의 빅퀘스천 다큐멘터리 <숨> 장례지도사와 유품정리사에게 직접 듣는 삶과 죽음에 관한 특별한 성찰 <숨> 3월 12일 개봉 확정! 묵직한 질문을 던지는 메인 포스터 & 예고편 공개 <숨>은 장례지도사, 유품정리사, 파지 줍는 노인 세 인물이 마주하는 죽음의 풍경을 통해 사는 의미와 죽는 준비에 관한 특별한 통찰과 질문을 불러일으키는 빅퀘스천 다큐멘터리다. <마담B>(2018), <뷰티풀 데이즈>(2018), <파이터>(2021) 등 극영화와 다큐멘터리를 오가며 탈북민과 같이 시스템 변두리에서 소외되는 존재들을 조명하고 그들의 삶을 집요하고도 섬세한 시선으로 포착해온 윤재호 감독의 신작으로 “터부시 되는 모든 것, 죽음 뒤에 남는 것을 마치 현미경처럼 들여다본다”라는 호평과 함께 주목받은 작품. 장례지도사 유재철과 유품정리사 김새별이 목도하는 삶과 죽음의 내밀한 풍경을 따라 삶의 마지막 순간에 관한 입체적인 해석과 사유를 전하며 사는 의미와 죽는 준비에 관한 깊고 뜨거운 질문을 불러일으키는 기대작이다. 오는 3월 12일 개봉을 확정하며 공개된 <숨>의 메인 포스터는 삼베 수의 위에 갓난아이의 배냇저고리가 가지런히 놓인 모습으로 인생의 처음과 마지막 순간을 강렬한 대비를 통해 보여준다. 옷의 형태를 닮은 ‘숨’이라는 글자 또한 숨으로 시작해 숨으로 끝나는 인생의 여정을 은유적으로 드러내며, “찾고 있나요? 사는 의미, 하고 있나요? 죽는 준비”라는 카피로 삶과 죽음의 의미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지며 영화에 대한 기대감을 더한다. <숨> 메인 예고편 ©㈜인디스토리 TRAILER |메인 예고편| <숨> 메인 예고편https://www.youtube.com/watch?v=pX6DJ6dVOq0 INFORMATION 제목 숨 (Breath) 장르 빅퀘스천 다큐멘터리 감독/각본 윤재호 출연 유재철, 김새별, 문인산 제작 빈스로드 픽쳐스, 시네마로드 배급 ㈜인디스토리 러닝타임 72분 관람등급 12세이상관람가 개봉 2025년 3월 12일 영화제 2023 전주국제영화제 전주시네마프로젝트 2023 춘천영화제 인디시네마 2023 제주혼듸독립영화제 SYNOPSIS 망자의 몸을 닦고 장례를 치르는 장례지도사 쇠락한 육신을 이끌고 죽음을 향해가는 노인 홀로 떠난 이들의 흔적을 보듬는 유품정리사 타인의 마지막을 배웅하고, 자신의 마지막을 기다리며, 매 순간 뜨거운 숨을 내쉬며 살아가는 세 사람. 이들이 들려주는 삶과 죽음의 이야기 “삶과 죽음은 멈추지 않는다” POSTER 메인 포스터
-
- 작성일 2025-02-19
- 조회수 536
-
- [일반] 연기예술학과 허남준 '2024 MBC 연기대상' 남자 신인상 수상
- 성균관대학교 연기예술학과 배우 허남준 '2024 MBC 연기대상' 신인상 수상 사진출처|에이치솔리드 성균관대학교 연기예술학과(13학번) 출신 배우 허남준이 지난 5일 방송된 '2024 MBC 연기대상' 시상식에서 금토 드라마 '지금 거신 전화는'으로 남자 신인상을 수상하였다. 극 중 허남준은 홍희주(채수빈 배우)의 대학 선배이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지상우 역으로 완벽하게 극에 녹아들며 작품의 몰입도를 끌어올렸다. 그는 특유의 낮고 진중한 목소리 톤과 섬세한 표정 연기로 지상우를 표현하였다. 신인상을 거머쥔 허남준은 "우선 상을 주셔서 너무 감사하다. 최근에 어떤 상대와 대화 중 편안함을 느낀다면 상대방이 엄청난 노력을 해 주고 있는 것이라는 글을 봤는데 '지금 거신 전화는'을 촬영하면서 느꼈던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각자의 자리에서 모두에게 따뜻하게 대해 주시는 선배님들을 보며 많이 배웠다. 가족들과 팬분들께 감사드린다."며 감사의 인사를 표했다. 끝으로 "여객기 참사 유가족분들께 애도를 표한다."고 전했다. 한편, 배우 허남준은 JTBC 새 드라마 <백번의 추억>에서 영례(김다미 배우)와 종희(신예은 배우)의 첫사랑인 한재필 역을 선보일 예정이다. 작품마다 안정적인 연기력과 인물 별로 각기 다른 매력을 발산하며 2024년 한 해 동안 다수의 작품에서 활약한 그는 대세 배우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한 만큼, 앞으로 걸어갈 행보에 대해 기대감이 한층 더 커지고 있다.
-
- 작성일 2025-01-09
- 조회수 1738
-
- [일반] 2024학년도 2학기 연기예술학과 졸업공연 <민중의 적>
- 2024-2 성균관대학교 연기예술학과 졸업공연 헨릭 입센 作 <민중의 적> [공연정보] - 공연날짜 : 11월 28일 ~ 12월 1일 (평일 19시, 주말 14시/18시) - 공연장소 : 성균관대학교 인문사회과학캠퍼스 경영관 B1 원형극장 - 러닝타임 : 110분 - 예매방법 : @skku_thatre 성균관대학교 연기예술학과 공식 인스타계정에서 확인 [시놉시스] 작은 도시에 사는 의사 토마스 스토크만은시의 숙원사업인 온천리조트의 재개장을 앞두고온천수의 오염 사실을 발견한다.스토크만은 이 사실을 밝히려고 하지만 친누나이자 도시의 시장인 페테르의 반대로 난관에 부딪힌다.스토크만은 지역의 언론 <민중매일신보>를 통해 이 사실을 공표하려 하지만시장에게 설득 당한 언론인들이 기사를 내지 않겠다고 하자,토마스 스토크만은 영상을 찍어 공론화를 한다.그러나 이 영상이 확산되는 과정에서자극적인 가짜뉴스들이 양산되고 스토크만의 의도와는 다르게 흘러가며히스틴온천리조트가 위협받자,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해 히스틴온천리조트 개발이사회는의료주임인 스토크만을 해고하고,스토크만은 이에 반발하며 그의 해임 여부를 주주총회 의결을 통해 결정하기로 하는데... [각색 포인트] 기존 ‘민중의 적’배경인 19세기 말에서 21세기 현대로시대와 배경을 옮겨오며 여론의 형성을 민중매일신보에한정짓지 않고 숏폼, 렉카 유튜버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였다.가장 큰 변화는 4막의 대중집회 장면을 주주총회와 토론의 형태를 빌려 관객이 참 여하는 형식으로 바꾼 것이다.관객들은 이 장면에 참여해, "정말 내가 그 도시의 시민이라면, 내 이익 이 침해될 때도 과연 진실을 말하는 소수를 지지할 수 있을까?"라는 더 깊은 도덕적 딜레마에 직면하게 된다.이를 위해 페테르의 논리를 실무적이고 행정적인 측면에서 더 강화하여, 도시의 경제적 생존을위한 정당성을 부여했다. 이를 통해 관객은 다수의 입장이 단순히 진실에 반한다는 이유로 페테르와 그 를 지지하는 다수를 ‘악’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관객이 다수의 입장을 더 공감하고 투표할 수 있는 장면 을 만들어 현실적인 선택을 고민할 수 있도록 했다.이 각색을 통해 공연은 진실과 이익의 대립을 넘어서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로 확장된다. 관객들은 소수의 진실과 다수의 이익 사이에서 양측 모두 설득력 있는 논리를 접하고, 진실이 나의이익과 충돌 하고 공동체의 존립을 위협할 때 무엇이 진정한 공동체를 위한 정의인가를 스스로고찰하게 될 것이다.
-
- 작성일 2024-11-18
- 조회수 1031
-
- [교수동정] 연기예술학과 이경성 교수 연출 <섬이야기> 제 2회 박효선 연극상 수상
- 연기예술학과 이경성 교수 연출 크리에이티브 VaQi의 <섬이야기> 제 2회 박효선 연극상 수상 우리대학 연기예술학과 이경성 교수가 창안하고 연출한 연극 <섬이야기>가 제 2회 박효선 연극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최근 박효선연극상 운영위원회(공동위원장 김창우·오수성)와 (사)한국민족극협회는 심사를 거쳐 지정남의 <오월굿>과 함께 이 같이 결정했다. ‘박효선연극상’은 고(故) 박효선(1954~1998)의 시대정신을 기리기 위해 2022년 제정, 격년제로 수상하고 있는 상이다. 박효선은 5·18 광주민중항쟁 당시 도청 항쟁 지도부 홍보부장이었으며 5월을 다룬 ‘금희의 오월’, ‘청실홍실’, ‘모란꽃’ 등을 창작한 극작가이기도 하다. 이경성이 교수가 연출한 <섬이야기>는 2022년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에서 초연했던 작품이다. 생존자들의 증언과 영상, 배우들의 연기와 오브제를 통해 4·3사건과 국가폭력의 비극성을 초점화했다. 심사위원단(위원장 김소연 연극평론가)은 “심사 과정이 치열했으나 4·3 유족들의 증언을 직접 무대에 올리고 퍼포먼스적으로 재해석한 ‘섬이야기’, 전통적 굿의 전개를 따르면서도 날카로운 문제의식을 제기하는 ‘환생굿’ 두 작품 모두 의미가 있다”며 , "우리 시대의 연극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한 창작자들에게 감사드린다”고 평했다. 한편 지난 6월부터 진행한 이번 공모는 서울, 대구, 일본 등에서 총 26편 작품이 응모됐다. 시상식은 오는 21일(오후 3시) 민들레소극장에서 열리며 수상작 하이라이트를 무대화할 예정이다. 박효선과 들불야학, 전대연극반 활동을 함께했던 임철우 작가의 토크 ‘박효선과 나’도 마련된다. (박효선 연극상 운영위원회 보도자료 참조) 언론보도 https://www.chosun.com/culture-life/performance-arts/2024/09/11/2DULIODTUBFT5KOX26QVQO4NFU/?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112726639019136&mediaCodeNo=257&OutLnkChk=Y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1240153&inflow=N https://www.munhak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6587 https://www.hani.co.kr/arti/culture/music/1158306.html
-
- 작성일 2024-09-13
- 조회수 1279
-
- [일반] 연기예술학과 2024년도 대학혁신지원사업 GREP프로그램
- 2024년도 대학혁신지원사업 GREP프로그램 2024년도 대학혁신지원사업 GREP프로그램(책임교수 이경성)의 일환으로 성균관대 연기예술학과는 지난 7월1일부터 10일까지 런던 현지를 방문하였다. 이 기간동안 학생들은 웨스트앤드와 영국 네셔널 씨어터, 로얄센트럴스쿨 오브 스피치 앤 드라마 등을 방문하여 동시대 공연예술의 흐름과 경향을 직접 체험하고 공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참여학생들은 향후 연극, 뮤지컬, 연출/연기 관련 다양한 진로 및 유학경로를 탐색하고 돌아올 수 있었다. 한편 성균관대 연기예술학과는 2022년부터 매년 하계 글로벌학습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여 프랑스 아비뇽 연극제, 독일 세계연극제등 공연예술의 메카를 방문하여 학생들의 국제적 예술감각을 고취하는 현장교육을 이어가고 있다.
-
- 작성일 2024-07-26
- 조회수 2545
-
- [일반] 연기예술학과 김종길 장학금 수여식 및 2024학년도 1학기 종강총회
- 성균관대학교 예술대학 연기예술학과 제1회 김종길 장학금 수여식 2024년 6월 20일(목) 18:30 성균관대학교 경영관 B1 원형극장 김종길 대표가 연기예술학과 장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직접 전달하였다. 그는 학생들에게 "체력이 떨어진 소환사(장학생들)에게 다시 일어나 체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체력 물약을 쥐어주고 싶었다."라고 온라인 게임 리그오브레전드의 상황에 빗대며, 너무 무겁지 않게 따뜻한 마음을 밝혔다. 그의 선한 영향력이 장학생들 뿐만 아니라 연기예술학과의 모든 학생들에게도 전달되기를 바란다. 이날 김종길 장학금 수여식에는 김종길 대표와 형 김종영씨(DH테일 건설사 대표), 전노민 동문(연기예술 석사20, 연기자), 정지숙 예술대학장, 이경성 연기예술학과장, 김현희 전임교원, 윤용아 전임교원, 윤재호 전임교원과 연기예술학과 재학생들이 함께 참석하여 수여식을 더욱 빛내 주었다. 장학금 수혜자로는 이예진(대학원24), 정지수(학부22), 김경민(학부24) 총 세명의 학생이 수여 받게되었다. 한편, 이날 장학금 수여식 이후에는 연기예술학과 2024년도 1학기 종강을 맞아 학생회 주관으로 종강총회가 진행되었다. 연기예술학과는 하계방학 기간동안 연극제를 통해 다양한 공연 제작이 진행 될 예정이다.
-
- 작성일 2024-06-28
- 조회수 2299
-
- [일반] 2024학년도 1학기 연기예술학과 연극제작실습 <이머시브 우리읍내> 공연 발표
- 연기예술학과 연극제작실습 24.06.02~06.04 수선관 본관 5층 테라스 <이머시브 우리읍내> 공연 발표 2024학년도 1학기 연기예술학과 연극제작실습 <이머시브 우리읍내>가 수선관 본관 5층 테라스에서 6월 2일부터 4일까지 진행됐다. 지도교수 이경성과 학생들이 직접 공연 제작에 참여하여 쏜튼 와일더 作 <우리읍내>를 이머시브 형태로 기존의 극장에서 벗어나, 장소특정적 시도를 통해 제작되었다. 연기예술학과는 하계방학 기간동안 연극제를 통해 다양한 공연 제작이 진행 될 예정이다.
-
- 작성일 2024-06-17
- 조회수 1561
-
- [일반] 김종길 공인회계사, ‘김종길장학기금’ 1억 2천만 원 기부
- 김종길 공인회계사, ‘김종길장학기금’ 1억 2천만 원 기부 김종길 공인회계사(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JCD contents provider 대표)는 4월 3일(수) 유지범 총장을 방문하여 연기예술학과 재학생을 위한 ‘김종길장학기금’ 1억 2천만 원을 전달하였다. 이날 인문사회과학캠퍼스 600주년기념관 3층 접견실에서 진행된 기금전달식에는 김종길 공인회계사와 형 김종영씨(DH테일 건설사 대표), 전노민 동문(연기예술 석사20, 연기자), 유지범 총장, 주영수 상임이사, 김재현 인사캠 부총장, 최재붕 자과캠 부총장, 이동환 법인국장, 정지숙 예술대학장, 지성우 대외협력처장, 이경성 연기예술학과장이 참석하였다. 김종길 기부자는 기념사에서 “적은 금액이지만 장학금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에게 적절하게 사용되었으면 좋겠다. 장학생들에게 기부의 참뜻이 잘 전달되어서 훗날 자신의 후배들에게 다시 베풀어주는 선한 영향력이 계속 이어지길 바란다”고 포부를 밝혔다. 유지범 총장은 답사를 통해 “우리 대학에 강의하신 인연으로 제자들에게 사랑을 베풀어 주신 따뜻한 마음에 감사드린다. 항상 그 뜻을 기억하고 선순환이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으며, 인의예지를 갖춘 훌륭한 인재로 성장시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교육하겠다. 다시 한번 큰 뜻에 감사드린다”고 감사를 표했다. 한편, 기부를 이끈 전노민 동문에게도 감사패가 수여되었으며, 김종길 기부자에게는 1857년에 제작된 조선시대 성균관 대사성(지금의 총장)의 관인인 ‘成均館印’이 날인된 ‘성균인 임명장’도 전달되었다.
-
- 작성일 2024-04-09
- 조회수 2874
-
- [교수동정] 연기예술학과 이경성 교수 연출/LG아트센터 제작 공연 <피나와 함께 춤을> 공개 오디션 개최
- LG아트센터가 제작하고 우리대학 연기예술학과 이경성 교수가 연출하는 공연 <피나와 함께 춤을> 공개 오디션이 오는 3월 15일 마곡 LG아트센터에서 열린다. 2024년 LG아트센터 기획 프로그램 크리에이터스 박스 선정작인 <피나와 함께 춤을>은 탄츠떼아터를 창안한 독일의 안무가 피나 바우쉬 탄츠 떼아터 부퍼탈과 그의 작업들을 새롭게 해석하며 인간의 창조성이 새롭게 도전받는 이 시기에 인간의 ‘몸’을 통해서만 전해지고 이어질 수 있는 예술적 가치에 대해 질문하는 작업이다.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이경성 교수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탄츠 떼아터 부퍼탈 피나 바우쉬의 협력으로 부퍼탈에서 레지던시를 진행하였고, 오디션을 통해 게스트 퍼포머를 선발한 후 오는 9월 28일부터 10월 6일까지 LG아트센터 u+스테이지에서 신작을 발표할 예정이다. (오디션 내용 관련 상세 안내는 LG아트센터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 작성일 2024-02-22
- 조회수 3774
-
- [일반] 2023학년도 2학기 연기예술학과 졸업공연캡스톤디자인 <검은쥐의 아이들> 공연 발표(11/23~26)
- 연기예술학과 졸업공연캡스톤디자인 23.11.23~11.26 경영관 B1 원형극장 <검은 쥐의 아이들> 공연 발표 2023학년도 2학기 연기예술학과 졸업공연캡스톤디자인 <검은 쥐의 아이들>이 경영관B1 원형극장에서 11월23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된다. 지도교수 원지영과 학생 연출 차서영(20학번)의 진행으로 수업 참여 구성원들과 함께 학술 연구 및 다양한 워크숍을 통해 작품을 구성하였다. 작품은 김연재 作<검은 쥐의 아이들>을 원작으로 제작되었으며 공연 예매 안내는 학과 SNS를 통해 공지될 예정이다. 학과 SNS: https://www.instagram.com/skku_theatre/
-
- 작성일 2023-11-13
- 조회수 3743